40주 만에 최대 상승률…정부 “가용 정책 총동원” 경고
서울 집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상승세가 강남 3구를 넘어 외곽 지역까지 번지면서, 정부와 서울시가 잇따라 긴급 대응에 나섰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6월 둘째 주(6월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6% 상승, 무려 40주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주춤했던 집값이 강남권 중심으로 반등한 뒤,
이제는 관악·성북·노원·강북 등 비강남권 외곽 지역으로도 확산되고 있는 모양새다.
강남권 ‘뜨거운’ 상승률…송파구만 0.71% ↑
특히 강남권 상승세는 가팔랐다. 송파구는 0.71%, 강남구 0.58%, **강동구 0.54%**를 기록하며 단기간에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 공급 부족 우려, 그리고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맞물리면서 강남권 투자 심리가 다시 불붙었다”고 분석했다.
외곽 지역도 ‘신고가 릴레이’…실수요자들 매수 서둘러
7월부터 시행될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 확대를 앞두고,
실수요자들이 자금 마련에 속도를 내면서 외곽 지역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속출했다.
-
노원구 중계동 ‘꿈에그린’: 13억2,900만 원에 거래, 신고가
-
금천구 독산동 ‘힐스테이트’: 14억500만 원에 거래, 신고가
이처럼 강남권뿐 아니라 비강남권 단지에서도 10억 원을 넘는 고가 실거래가 이어지며,
시장은 사실상 ‘전방위 상승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정부·서울시 “과열 차단 총력”…성동구 ‘토지거래허가구역’ 검토
정부도 즉각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실 주재로 열린 부동산시장 점검회의에서는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발언이 나왔고,
금융당국은 은행권 대출 총량 점검과 함께 가계대출 증가 억제를 강조하고 있다.
서울시 역시 성동구 등 과열 우려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의 부동산 거래는 실거주 목적이 아니면 사실상 불가능하다.
서울 집값은 금리·공급·정책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으며, 하반기에도 강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정부의 규제 카드와 금감원의 대출 통제 의지가 강해지면서, 향후 시장은 더욱 복합적인 조정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